청량국사 징관 스님의 현담
大方廣佛華嚴經疏 券第一幷序
唐淸凉山大華嚴寺沙門澄觀撰
(嘉會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혜일 임원호 법사단장”
1)<標擧宗禮> 往復無際. 動靜一源. 含衆妙而有餘. 超言思而逈出者 其有法界歟
往復(왕복)에 끝이 없고 動靜(동정)이 하나로다. 온갖 것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언어와 사상을 초월해 있는 것이 法界(법계)이다.
2)<別歎能詮> 剖裂玄微. 昭廓心境. 窮理盡性. 徹果該因. 汪洋沖融. 廣大悉備者
其喩大方廣佛華嚴經焉.
그윽한 마음과 경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추궁하되 바다처럼 沖融無碍(충융무애), 넓고 크고 원만하니 그 이름이 ‘大方廣佛華嚴經’ 이다.
3)<敎主難思> 故我世尊十身初滿. 正覺始成. 乘願行以彌綸. 混虛空爲體性.
富有萬德. 蕩無纖塵
그러므로 우리 세존께서 十身初(십신초)에서 성불하시고. 願行을 따라 經綸(경륜)하시니 그 體性은 비어 虛空같아 티끌 하나 없으면서도 만 가지 德을 구족하고
4)<標擧宗禮> 湛智慧之澄波. 虛含萬象. 皦性空之滿月. 頓落百川. 不起樹王. 羅七處於法界. 無違後際. 暢九會於初成. 盡宏廓之幽宗. 被難思之海會. 圓音落落. 該十刹而頓周. 主伴重重. 極十方而齊唱
밝은 智慧는 맑은 波濤(파도) 속에 온갖 모습 드러냈다. 빈 마음 밝은 달이 百川(백천)에 비치듯이 보리수 밑은 떠나지 않고 7處 9會로 다하실 때, 그윽한 마음속에 헤아릴 수 없는 法會여, 분명한 圓音(원음)이 온 세계에 꽉 차고 수없는 대중이 시방세계에서 함께 노래하였다.
5)<言該本末> 雖空空絶跡. 而義天之星象燦然. 湛湛亡言. 以敎海之波爛浩澣. 若乃千門潛注. 與衆典爲洪源. 萬德交歸. 攝群經爲眷屬.
자취 없는 허공 속에 총총한 별들이여, 밝고 맑은 바다 속에 波爛(파란)이 넓고 넓구나. 千門(천문) 衆典(중전)의 근원이고 萬德(만덕) 群經(군경)이 모두 그의 권속이로다.
6)<旨趣玄微> 其爲旨也. 冥眞體於萬化之域. 顯德相於重玄之門. 用繁興以恒如. 智周鑑而常精. 眞妄交徹. 卽凡心而見佛心. 事理雙修. 依本智而求佛智. 理隨事變. 則一多緣起之無邊. 事得理融. 則千差涉入以無礙. 故得十身歷然而相作. 六位不亂而更收. 廣大卽入於無間. 塵毛包納而無外. 炳然齊現. 猶彼芥甁. 具足同時. 方之海滴. 一多無礙. 等虛室之千燈. 隱顯俱成. 似秋空之片月. 重重交映. 若帝網之垂珠. 念念圓融. 類夕夢之經世. 法門重疊. 若雲起長空. 萬行芬披. 比華開錦上.
그 뜻은 은근히 참 몸(眞體), 萬化(만화)에 합하고
그 덕상은 거듭거듭 진리의 문에 나타나네.
일어날 때는 한결같으나 밝은 거울(智慧) 항상 고요하고
眞妄(진망)이 交徹(교철), 범부의 마음속에서 부처를 보게 되네.
本智(본지)을 의지하여 佛智(불지)가 구해지니
이치를 따라 일이 생기면, 하나 가운데서 많은 것이 일어나고
일이 이치에 합하면 천차만별한 것이 하나로 돌아가도 걸리지 않네.
그러므로 十身 가운데서 온갖 상호를 나타내고
범부의 위(六位)에서 어지럽히지 않고 수확하네.
넓고 큰 것이 틈 속에 들어가고, 티끌 속에 시방세계가 포용되어도
병속의 개자처럼 분명히 나타나도다.
동시에 구족한 것은 바닷물 같고, 一多(일다)가 걸림 없는 것은 방안의 등불 숨었다 나타나는 것은 가을 하늘의 달과 같고,
서로서로 비추는 것은 帝網(제망)의 구슬 같아라.
원융한 생각은 간밤의 꿈이요
거듭된 법문은 하늘 속의 구름
만행의 향기는 비단 위의 꽃이로다.
7)<成益頓超)若夫高不可仰. 則積行菩薩曝腮鱗於龍門. 深不可窺. 則上德聲聞杜視聽於嘉會. 見聞爲種. 八難超十地之階. 解行在躬. 一生圓曠劫之果. 師子奮迅. 衆海頓證於林中. 象王迴旋. 六千道成於言下. 啓明東廟. 智滿不異於初心. 寄位南心. 因圓不逾於毛孔. 剖微塵之經卷. 則念念果成. 盡衆生之願門. 則塵塵行滿.
높아 볼 수 없는 것은 성문이 가회를 엿보는 것 같도다.
보고 듣는 것이 근본이 되나 8난 10지 를 뛰어넘었고
行과 解를 보니 一生중에 曠劫(광겁)의 業果(업과)가 들어있다.
사자분신으로 온갖 바다 숲속이 드러나고
문수의 말 한마디에 6천 比丘(비구)가 成佛(성불)하듯
복성 동쪽에 發心(발심)한
선재의 求法(구법)이 털구멍 속의 털이로다.
티끌 같은 經卷(경권)은 생각마다 果를 이루고
중생이 원을 다하면 먼지마다 萬行(만행)이로다.
8)<結歎宏遠>眞可謂常恒之妙說. 通方之洪規. 稱性之極談. 一乘之要軌也. 尋斯玄旨. 劫覽除經. 其猶果日麗天. 奮衆景之耀. 須彌橫海. 落群峯之高
참으로 묘하고 영원한 말씀이여,
通方(통방)의 洪規(홍규)요
佛性(불성)의 極談(극담)이며
一乘(일승)의 軌度(궤도)로다.
이 뜻을 가지고 다른 경전을 읽으면
태양 속에 빛이 되고
바다 속의 수미산에 萬山(만산)이 깃든 것 같다.
9)<感應逢遇>是以菩薩搜秘於龍宮. 大賢闡揚於東夏. 顧惟正法之代. 尙匿淸輝. 幸哉像季之時. 偶斯玄化. 況逢聖主. 得在靈山. 竭思幽宗, 豈無慶躍.
용수보살은 龍宮(용궁)에 들어가 이 책을 가져왔는데
東亞(동아) 의 성현들이 이 책을 널리 폈다.
만세에 정법을 보는 것이
숨은 달이 다시 나타난 것 같도다.
행복하여라.
像法(상법) 季法(계법) 시대에 玄化(현화)를 만남이여,
靈山(영산)에서 성주(임금님) 를 만나
깊은 경지를 이야기하게 되었으니
이보다 더 경사스러운 일이 어디 또 있단 말인가.
10)<略釋名題> 題稱大方廣佛華嚴經者. 卽無盡修多羅之總名.
世主妙嚴品第一者. 卽衆篇義類之別目.
大以曠兼無際. 方以正法自持. 廣則稱體而周. 佛謂覺斯玄妙. 華喩功德萬行.
嚴謂飾法成人. 經乃注無竭之涌泉.
‘대방광불화엄경’은 이 경의 이름이고 ‘세주묘엄품’ 제1은 品의 이름이다.
크고 큰마음이여, 끝도 갓도 없으니 그 이름이 大가 되고,
바르고 바름이여, 정법이 그 속에 들었으니 그 이름이 方이로다.
넓고 커서 헤아릴 수 없으니 그 이름이 廣이고
깨닫고 깨달아서 그 현묘를 다했으니 그 이름이 佛이로다.
공덕산 만행의 꽃이여, 그 이름이 華이고
법답게 꾸며 사람들을 편히 살게 하였으니 그 이름이 嚴이며
샘솟듯 목마름을 축여주니 그 이름이 經이로다.
貫玄凝之妙義. 攝無邊之海會. 作終古之常規. 佛及諸王. 並稱世主. 法門依正. 俱曰妙嚴. 分義類以影品名. 冠群篇而稱第一. 斯經有三十九品. 此品建初. 故云大方廣佛華嚴經 世主妙嚴品第一
.........강의 잘 들어 메모 할것........
<歸敬偈, 歸命偈>귀경게, 귀명게
歸命十方極三際 塵刹圓明調御師
시방 삼세가 다 하도록 목숨 바쳐 귀의하나이다.
티끌 같은 세계의 중생들을 조복받아 다스리는 부처님,
法界功德大悲雲 毘盧遮那大智海 所住甚深眞法性
법계의 공덕으로 대자대비의 구름을 일으켜
비로차나부처님의 큰 지혜 법성에 머물고자 하나이다.
所流圓滿修多羅
유통하신 것은 원만한 수다라이니
一一塵方佛會中 普賢文殊諸大士
온갖 세계 부처님회상마다 계시는 보현문수 대보살님께 아뢰옵나이다.
我今欲以一毛智 測量無邊法界空
제가 이제 털끝만한 지혜로 갓 없는 법계를 헤아리고자 하오니
願承三寶同體慈 句句冥符諸佛意 俾令法眼常無缺
원컨대 3보 동체께서는 함께 받들어
글귀마다 부처님 뜻과 부합되고 법안에 항상 결점이 없게 하옵소서,
盡衆生界如普賢
迴玆勝善洽群生 速證菩提常樂果
중생계가 다하도록 보현의 행원을 따라
회향코자 하오니 이수승한 선근으로 중생들을 흡족하게 하고
속히 보리를 증득하여 상락아정의 과를 얻게 하옵소서.
“十身”
***三世간에 융통하는 십신 : 1)衆生身 2)國土身 3)業報身 4)聲聞身 5)緣覺身 6)菩薩身
7)如來身 8)智身 9)法身 10)虛空身
***부처에게 스스로 십신이 있음 : 1)菩薩身 2)願身 3)化身 4)力持身 5)相好莊嚴身
6)威勢身 7)意生身 8)福德身 9)法身 10)智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