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의 이해
온 우주(宇宙) 그대로가 비로자나 부처님의 세계인 것을 본래면목(本來面目)이라고도 하고, 리(理)라고도 하고 또한 마음(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깨달은 마음에서 나오는 말씀 이라고 봅니다.
이 마음을 거울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 이해하여야 합니다.
대상(對象)을 떠나 거울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는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거울은 어떤 대상을 비추어질 때만이 거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대상이 있어야 제구실을 할 수 있는 점을 잘 살펴야 된다는 것입니다.
대상이 마음의 얼굴이라 하여 두 거울이 마주보고 서로 비춘다(兩鏡雙照:양경쌍조). 라고 비유를 들어서 이야기 하고도 있습니다.
마음과 대상이 마음이라고 하는 하나 된 장(場)에서 마음과 대상일 때의 마음이 여기서 말하는 마음이지 대상을 떠난 홀로 존재할 수 있는 마음이 아닙니다.
이렇게 이해된다면 마음의 얼굴을 알 수 있습니다. ‘甲’이 보이면 ‘甲’이 마음의 얼굴이요. ‘乙’이 보이면 ‘乙’이 마음의 얼굴입니다.
잠시도 멈추지 않고 모든 모습으로 나툰 마음의 얼굴이 또한 그대로 대상의 얼굴인 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도 마음은 마음이고 대상은 대상이니, 마음과 대상이 인연의 장에서 하나이나 마음이 있으므로 대상이 있고 대상이 있으므로 마음이 있다는 근본연기(根本緣起)의 법칙이 여기서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원리(原理)가 이(理)인데 이 이(理)가 성립되는 까닭도 마음이 마음이 아니고 대상도 대상이 아닌, 곧 마음으로 독립된 실체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마음이 마음이 아닌데서 마음이고, 대상도 대상이 아닌데서 대상임을 여실히 아는 것이 스스로를 아는 것입니다 마음하면 대상이 들어있고 대상하면 이미 마음이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마음과 대상은 또한 그대로 진여 공성 (眞如空性)의 자기 나툼이니 공성인듯 하면서 마음으로 나투고, 마음인듯 대상인듯 하지만 그대로가 공성을 나투고 있으니 공성과 그 나툼의 관계를 하나되어 분별이없다고 이갸기 하고 있습니다.
글 이나 말로 표현 하려니 마음이라고 한 것이겠지만 마음이란 말도 사실은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마음 밖에서 찾지 말라는 말이나(마음이 안과 밖이 어디 있습니까) 머무는바 없이 (無住)란 말도 말이 안 된다고 봅니다. 상대相對)계는 이미 머무는 마음에서 시작 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음은 대상을 먹고 산다고 도 했습니다.
수행정진을 열심히 하여 깨다른 마음, 걸림없는 부처님 마음 되시기 바랍니다.
'대한불교 동산법사단 혜일 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험생을 위한 기도 (0) | 2022.11.13 |
---|---|
참선에 동참하려면 (0) | 2022.10.30 |
칠불회모임 (1) | 2022.09.20 |
깨달음의 세계(華嚴) (0) | 2022.09.04 |
상입과상즉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