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여 ! 진정 행복을 원하는가?***
행복은 붓다가 세상에 나심이요.
행복은 성스런 진리를 배움이요.
행복은 붓다의 제자들이 서로 화합이라.
더욱 큰 행복은 위의 셋이 잘 조화됨이라.
누구나 진정으로 행복하기를 원한다면, 행복으로 가는 길을 알아야 합니다.
붓다, 담마, 상가, 이 셋(불,법,승)이야 말로 진정한 행복으로 가는 길을 제시하는 보배입니다.
幸福感(행복감)을 가리키는 지수는 所有(소유)를 분자로 하고, 慾望(욕망)을 분모로 합니다. 즉 행복지수 = 소유/ 욕망인 것이지요. 이에 따르면 사람들은 소유가 많아질수록 행복감을 크게 느낀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복해지는 첫째 방법은 소유를 늘리는 것입니다. 소유를 늘리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福(복)을 닦는 것입니다. 붓다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富裕(부유)해지려면 인색하지 말고 보시하라.
高貴(고귀)해지려면 시기 嫉妬(질투)하지 말고 남의 功德(功德)을 따라 기뻐하라. 아름다워지려면 성내지 말고 자애롭게 대하라. 이야 말고 富貴(부귀)와 美貌(미모)를 자신의 소유로 만드는 秘訣(비결)인 것입니다.
베푸는 마음 연습하면 부자 되고, 남의 공덕을 따라 기뻐하는 마음 연습하면 고귀해지며, 아름다운 마음 연습하면 아름다워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아무리 소유를 늘린다고 하더라도, 욕망이 남아있는 한 幸福指數(행복지수)가 無限大(무한대)가 될 수는 없습니다.
진정한 행복, 궁극적인 행복을 얻으려면 행복지수가 문한대가 되어야 하고 그러려면 결국 욕망이 제로가 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욕망을 제로로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道(도)를 닦는 것입니다. 도의 핵심은 몸 보기, 마음보기, 性品(성품)보기에 있습니다.
자신의 몸을 觀察(관찰)하고, 마음을 관찰하며, 성품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붓다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몸이 물거품처럼 허무하고, 마음이 아지랑이처럼 실체(實體) 없음을 깨닫는다면 그는 능히 感覺(감각)의 화살을 꺾으리니, 죽음의 王(왕)도 그를 보지 못한다.
몸뚱이는 解體(해체)해서 보며, 마음은 묶어서 봅니다. 그리고 성품은 돌이켜보아야 합니다. 性品(성품)은 空(공)한 것입니다. 텅 비어있기에 무엇으로든 채울 수 있습니다. 내가 선택 합니다. 내 작품입니다.
결국 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비결은 無我法(무아법)에 通達(통달)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나마 福을 닦거나 道를 닦는 것이 부질 있는 것이고, 그 외의 것은 모두 부질없는 것이라고 꿰뚫어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월호 스님
*걱정이 많아서 불안할 때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이렇게 미래에 대해 걱정한다고 바뀌는 것이 있는지
걱정 때문에 오히려 지금 현재 시간을 놓지는 것이 아닌지
바뀌는 것이 없다면 마음을 현재에 놓고
이시간의 소중함을 느끼세요. ................중략
*삶이 가져다 주는 실망과 외로움, 슬픔과 상처들을 부정하지말고 그냥 가슴으로 안아주세요.
"그래 네 가 또 왔구나" 하면서 다정한 눈으로 친구를 보듯 잠시 같이 있어 보세요. 삶 전체를 다 받아
들이는 것이 가장 어려운 수행 같아요.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너무 알려고 하지 마세요, 알려 하면 할 수록 내 삶으 주도권
을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줘버리는 결과를 가지고 와요. 내가 주인이 되는 자ㅅ힌있는 삶을 사세요.
파이팅!
*살다보면 외롭거나 불안하거나 심리적으로 힘든 순간이 와요. 이때 무조건 벗어나려고만 하면 저항하면
서 그 감정이 증폭될 수있어요. 좀 외로워도 괜찮아요, 불안해도 괜찮아요. 가만히 그 감정과 같이 있어
보면 곧 흘러 지나가요.
*지금있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감사해 하는 순간 행복감이 몰려와요. 아무리 좋은 환경에 있어도 받아들이
지 못하고 자꾸 다른 것을 더 원하면 절대로 행복하지 않습니다. 즉 뭘해서 행복한 것이 아니고 받아들여
마음이 고요 할 때 행복합니다.
혜민스님의 SNS 어록중헤서